티스토리 뷰
REST API와 같이 request/response의 방식이다.
REST API방식은 요청 URI에 따라 미리 지정된 정보가 제공되는 반면에 GraphQL은 사용자의 디테일한 요청에 따라 매칭되는 정보만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REST API는 학생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이름, 학번, 학년, 반 등 미리 지정된 학생의 정보에 해당하는 것들을 모두 넘겨주지만 GraphQL은 학생의 이름, 학번만을 요청하고 받는 식인 것이다. 필요한 정보만을 요청하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여러번 request를 보낼 필요가 없다(반과 그 반의 학생 정보를 얻고 싶을 때 REST API의 경우에는 get /class/3, get /class/3/students 두 개의 api를 따로 보내야하는 반면에, GraphQL에서는 한번에 작성 가능).
즉, REST API는 간단한 요청에 복잡하고 정형화된 응답, GraphQL은 복잡한 요청에 간단하고 유연한 응답이 가능한 것이다. 만드는 서비스가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으냐에 따라 방법을 선택하면 되지만 굳이 선택하지않고 둘 다 구현해서 제공할 수도 있다.
'Front-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ory book 시작하기 (0) | 2022.07.08 |
---|---|
CSR, SSR (0) | 2021.07.17 |
Node.js (0) | 2021.07.13 |
React, Vue, Angular (0) | 2021.07.12 |
Babel &b Webpack (0) | 2021.03.15 |